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HTML과 CSS의 기술적 차이 완벽 정리 (DOM, 렌더링, 적용방식)

by IT101 2025. 11. 21.

HTML 파싱으로 DOM 트리를, CSS 파싱으로 CSSOM 트리를 생성하고, 이 둘이 합쳐져 렌더 트리가 되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웹 페이지는 단순한 글과 이미지의 조합이 아닙니다. 구조와 스타일이 분리되어 설계된 웹은 유지 보수와 확장성 측면에서 뛰어난 장점을 가집니다. 이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두 핵심 기술이 바로 HTML과 CSS입니다. 초보자는 이 둘의 역할이 헷갈릴 수 있지만, 명확한 차이를 이해하면 웹 제작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급격히 향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HTML과 CSS의 기술적 차이를 DOM, 렌더링 과정, 그리고 적용 방식이라는 관점에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 1. DOM 관점에서 본 HTML과 CSS의 차이
  • 2.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과 역할 분담
  • 3. 코드 적용 방식과 유지 관리 관점

1. DOM 관점에서 본 HTML과 CSS의 차이

DOM(Document Object Model)은 웹 페이지를 트리 구조로 표현한 것으로, HTML과 CSS 모두 DOM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하지만 HTML은 DOM의 기본 구조를 만드는 역할이고, CSS는 그 구조에 ‘스타일’을 입히는 역할을 합니다.

HTML은 <div>, <p>, <img> 같은 태그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뼈대를 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div>
  <h1>제목</h1>
  <p>본문 내용</p>
</div>

이 구조는 브라우저가 DOM 트리로 해석할 때, 부모-자식 관계의 노드로 구성됩니다. 반면 CSS는 이 구조에 시각적인 효과를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h1 {
  color: blue;
  font-size: 24px;
}

이러한 CSS는 DOM 노드에 시각적 특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보기 좋게 만들어줍니다. 즉, HTML은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를, CSS는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담당합니다. DOM의 변화나 조작이 필요할 경우에도 구조 변경은 HTML, 스타일 변경은 CSS로 나뉘어 처리됩니다.

 

2.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과 역할 분담

브라우저는 HTML과 CSS를 동시에 처리하지만, 그 순서와 방식은 명확하게 나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브라우저는 HTML을 받아들이고 이를 파싱하여 DOM을 생성합니다. 이어서 CSS는 별도로 파싱되어 CSSOM(CSS Object Model)을 생성합니다.

렌더링 엔진은 이 두 가지 모델을 결합하여 렌더 트리(Render Tree)를 구성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보는 화면을 그려냅니다. 이 과정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HTML 파싱 → DOM 생성
  2. CSS 파싱 → CSSOM 생성
  3. 렌더 트리 생성
  4. 레이아웃 계산
  5. 페인팅(Painting)
  6. 화면 출력

이 과정에서 HTML이 없으면 DOM이 없기 때문에 화면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반면 CSS가 없어도 구조는 보이지만 시각적 디자인이 빠지게 됩니다. 이는 CSS가 기능적으로 ‘보조적 요소’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는 CSS의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현대 웹에서는 HTML과 CSS를 모두 필수 요소로 간주합니다.

 

3. 코드 적용 방식과 유지 관리 관점

HTML과 CSS는 작성 방식부터 적용 방식까지 다릅니다. HTML은 문서 내에서 콘텐츠를 나열하는 방식이며, 보통 정적인 구성으로 유지됩니다. 반면 CSS는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 인라인 스타일: 태그 내에 직접 작성
  • 내부 스타일: <style> 태그에 작성
  • 외부 스타일시트: .css 파일로 분리하여 링크

이 중 외부 스타일시트 방식은 유지보수에 가장 적합하며,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필수적인 구조입니다. HTML과 CSS를 분리하면 동일한 구조에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고, 하나의 CSS 파일로 수백 개 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CSS는 미디어 쿼리(media query)를 이용해 반응형 웹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 맞춘 유연한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HTML은 이런 환경에 직접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CSS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HTML과 CSS는 역할과 작성 목적이 완전히 다르며, 이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것이 웹 표준에서도 권장하는 방향입니다.


 

HTML과 CSS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두 축이지만, 기능과 역할 면에서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HTML은 구조, CSS는 디자인이라는 역할 분담을 통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DOM과 렌더링 원리, 코드 적용 구조를 이해하면 더 나은 웹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기초 개념이 탄탄해야 좋은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